안녕하세요, 여러분!
다들 기말고사 준비로 한창 바쁘고 많이 피곤하시죠...?
잘 알면서도 짐을 하나 더하려니 송구한 마음이 들지만...
그래도 이왕 시작한 김에 조금만 더 힘내서 유종의 미를 거두어보도록 합시다. ^^;;
1. 제6회차 시간
우선 제6회차는 지난번에 말씀 드린대로 26일(목) 오후 3시부터 시작할 예정입니다.
발표는 자유순서로 진행할 예정이므로,
5시 이후 일정이 있으신 분들은 일찍 와서 앞 순서에 발표해 주시고,
그 전에 스케줄이 있으신 분들은 일 보시고 가능한 시간 안에 도착하셔서 나중 순서에 발표를 진행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비평 에세이 주제
주제는 1회차에서 5회차까지 진행한 내용 중 자유롭게 1-2개 주제를 선택해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기존에 배포된 자료 외에 각자 스스로 검색 확보한 추가 자료를 참고하셔도 좋고, 또는 자신의 생각 위주로 서술하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ex1) [국화 개념에 관하여]:
‘국화’란 무엇인가? 국화는 필요한가? 서양에는 없고, 동양에는 있는 이유는?
국화의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 그 이상적 기능, 역할은 무엇인가?
민족주의란 궁극적으로 특수성과 보편성 중에 무엇을 추구해야 하나?
(한)국화를 통해 실현해야 하는 목표는? 민족주의/글로컬리즘/글로벌리즘/코스모폴리타니즘 등 중에??
ex2) [동시대 미술에 관하여]
모더니즘, 모더니즘 이후, 포스트모더니즘, 동시대 미술(컨템포러리아트) 각각의 개념은?
그중 내게 가장 관심 있고 흥미로운 종류의 미술은? 그 배경과 특징은?
동시대 미술과 시간성? 동시대 미술과 문화담론? 동시대 미술과 과학기술?
동시대 미술과 자본/시장/제도, 동시대 미술과 탈인간중심주의/공허 등등.
ex3) [일본화에 관하여]:
일본화의 형성 배경 및 과정, 일본화의 특징(사상, 내용, 형식, 기법)은?
일본화와 서양화, 일본화와 한국화의 관계는? 일본화의 가치-한계는?
ex4) [포스트휴먼과 미술에 관하여]
포스트휴먼 기술에 따라 제작된 “미술”이 과연 “미술”일 수 있는가? 그 주체는 인간인가 기술인가?
포스트휴먼 시대에 포스트휴먼 미술이 아닌 미술도 남아 있을 것인가?
또는 AI 기반 예술 창작, VR, AR 아트, 디지털 아트, 넷아트, 바이오 아트, 유전자 미술,
디지털 시대 미술 교육, 전통 미술의 디지털 전환, 복원 및 가상 전시 기술,
미술관의 미래, 디지털 아카이빙 등에 대한 구체적 사례, 기술적/도덕적/제도적/철학적 논의들
ex5) [한국화에 관하여]
해방 후 ‘한국화’ 담론의 전개, ‘한국화’와 ‘동양화’, 나의 선택? 이유는...?
한국화와 일본화/중국화의 관계?
한국화의 정의는? 이념(정신)? 가치? 형식? 한국화의 신분(동시대 예술/전통예술)은?
한국화는 필요한가(정치/사회/문화/경제적으로)? 한국화는 브랜드가 돼야 하는가/될 수 있는가?
한국화 초극(청산)론은 타당한가? 시의적절한가?
21세기 한국화의 과제는? 미래는? 한국화와 AI?
3. 비평 에세이 분량
1편 또는 2편, A4, 10point, 1장 이상
4. 제출 방법
6월 26일(목) 정오까지 yiby@sungshin.ac.kr로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