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융합보안 창의·소프트웨어경진대회
융합보안공학과에서는 융합보안공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5 융합보안 창의·소프트웨어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본 대회를 통해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융합보안공학과 학생들의 창의성과 독창성을 맘껏 뽐낼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개요
1) 대 회 명 :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보안 창의·소프트웨어경진대회
2) 대회일정
- 6월 25일: 대회 공지 및 시작
- 6월 25일 ~ 8월 22일: 경진대회 진행
- 7월 13일 자정까지: 신청서 접수
- 8월 23일 자정까지: 프로젝트 결과물 제출
3) 주최 :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보안공학과 & 미래융합기술공학과
5) 참가대상
-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보안공학과 재학생 (주전공, 부복수전공생, 휴학생, 대학원생 포함)
- 성신여자대학교 미래융합기술공학과 재학생
6) 심사위원 :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보안공학과/미래융합기술공학과 교수
2. 공모 유형
※ 다음 유형 중 한 가지 유형을 선택하여 공모 신청 가능.
1) 아이디어 (Idea) -> 제출물: 아이디어 제안서
구현 단계까지 가지 못 했지만 기발하거나 유익한 아이디어
2) 소프트웨어 (Software) -> 제출물: 소프트웨어 소스코드 + 보고서 + 실행동영상
제안한 아이디어를 컴퓨터 데스크톱, 노트북 등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구현
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Mobile Application) -> 제출물: 앱 소스코드 + 보고서 + 실행동영상
제안한 아이디어를 안드로이드폰, 아이폰, 테블릿 (갤럭시탭, 아이패드) 등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구현
4) 프로토타입 (Prototype) -> 제출물: 프로토타이핑 소스코드 + 보고서 + 실행동영상
제안한 아이디어를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인공지능 스피커, 드론, RC카 등의 임베디드 플랫폼을 사용해 구현
3. 참가 방법
1) 분야: 보안, IT, 융합 분야
예: 융합보안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보안), 사물인터넷, 핀테크, 블록체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분야이며, 보안·IT·융합 분야 모두 가능함.
2) 조건: 수업/동아리/소모임 등에서 과제 혹은 프로젝트로 수행 중인 아이디어로 공모 신청해도 됨. 다만, 대회 접수 (2025. 7. 13.) 전에 공식적인 경진대회에서 이미 입상한 결과는 제외.
3) 평가기준
아이디어 제안서: 논리성, 경쟁력/차별성, 실현가능성
소스코드 + 보고서 + 실행동영상: 논리성, 경쟁력/차별성, 재현성
4) 참가신청서 제출:
https://forms.gle/fQjfhb26a6ntivKz5
마감: 2025. 7. 13.(일) 자정까지
제출 후 최종 제출할 때 내용 변경 가능함
5) 팀 구성
1~4명을 추천하지만, 팀 인원에 제한 없음.
1인 1팀에 속하여 1작품 참여/제출 가능함.
다만,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한 합당한 근거없이 5명 이상의 팀은 평가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6) 결과물 포맷:
제안서/보고서: 자유 문서 포맷이며 “팀명_프로젝트명.확장자”로 제출
소스코드와 실행동영상: 알집으로 압축한 후 “팀명_프로젝트명.zip”으로 제출
7) 최종 결과물 제출:
https://forms.gle/Wz5Yr2AUJ2XMe79H9
마감: 2025. 8. 22.(금) 자정까지
참고사항: 제출시 구글 이메일 로그인 필요
4. 일정
1) 6월 25일: 대회 공지
2) 6월 25일~: 경진대회 시작
3) 7월 13일 자정까지: 참가 신청서 구글설문폼 접수
4) 8월 23일 자정까지: 결과물 제출
5) 8월 31일: 1차 서면 심사 결과 발표
6) 9월 OO일 (미정): 1차 서면 심사를 통과한 팀의 발표 심사
8월 31일 1차 심사 결과 발표할 때 공지 예정
5. 대회 시상
0) 모든 참가자 특전: 2025 융합보안해커톤 참가 신청시 우선순위 부여
1) 시상종류 : 대상 (80만원 1팀), 최우수상 (60만원 1팀), 우수상 (30만원 2팀), 장려상 (20만원 2팀)
• 공과대학장상
2) 대학원생 부문 시상 종류: 대상 (50만원 1팀), 최우수상 (25만원 2팀)
• 대학원장상
3) 대상 수상자 특전
- 연구 지원: 특허 혹은 논문으로 실적화 가능하도록 지원·지도받을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