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안내

작성일
2023.07.05
수정일
2023.07.05
작성자
성신건강관리팀
조회수
219
글번호
121860
첨부파일

  질병관리청과 농촌진흥청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발생이 집중되는 6~11월, 진드기 물림 주의 및 감염 예방을 위한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습니다. 이에 아래 사항을 확인하시고 예방수칙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1.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발생 원인과 주요 특징

 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1) 발생원인: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

  2) 주요 증상 및 특징

   - 호발시기: 4~11월

   - 잠복기: 5~14일

   - 주요증상: 38℃ 이상의 고열, 피로, 소화기계 증상, 근육통, 두통, 신경계 증상 등

   - 치명률: 국내 18.7%로 높은 치명률을 유지

 나. 쯔쯔가무시증

  1) 발생원인: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

  2) 주요 증상 및 특징

   - 호발시기: 10~12월

   - 잠복기: 10일 이내

   - 주요증상: 발열, 오한, 근육통, 발진, 두통 등

   -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검은딱지(가피, eschar) 관찰

 

2.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위험요인: 농작업의 비율이 절반 이상으로 매우 높음

   (2022년 기준 쯔쯔가무시증은 53.1%, SFTS는 50.8%가 농작업 중 진드기에 물려 감염)

 가.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전

  1)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2)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갖춰입기

    : 밝은 색 긴소매 옷, 모자, 목수건, 양말, 장갑 등

  3) 농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4)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나.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중

  1) 풀밭에 앉을 때 돗자리 사용하기

  2) 풀숲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3)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4) 기피제의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다.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후

  1) 귀가 즉시 옷은 털어 세탁하기

  2) 샤워하며 몸에 벌레 물린 상처(검은 딱지 등) 또는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기

  3) 의심 증상 발생 즉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첨부. (6.20.보도참고자료) 농작업 중 진드기 물림 주의하세요!(질병관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