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144764
작성일
2025.07.16
수정일
2025.07.16
작성자
대외협력홍보팀
조회수
290

[미래응용과학학과, 식품영양학과] 대학원 연구팀, 국내 최대 식품과학 학술대회서 우수 성과 거머쥐어

‘2025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우수논문 선발대회, 포스터 부문 수상


장혜원 미래응용과학학과 교수 연구팀이 ‘2025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김재철 식품영양학과 교수 연구팀이 ‘2025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우리 대학 일반대학원 미래응용과학학과와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들이 국내 최대 규모의 식품과학 학술대회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우리 대학은 지난 7월 2일(수)부터 4일(금)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5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미래응용과학학과 이지윤 석사과정생(지도교수 장혜원)이 대학원생 우수논문 선발대회 3등상을, 채운정 석사과정생(지도교수 장혜원)과 식품영양학과 김지민 석사과정생(지도교수 김재철)이 우수포스터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지윤 미래응용과학학과 석사과정생은 이번 학회에서 ‘지리적 원산지 판별을 위한 영양성분 및 휘발성 향기성분 기반 판별분석(Discriminative profiling of nutrients and volatiles to trace geographical origins)’을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국내산 신품종 감자인 ‘금선’과 ‘은선’을 대상으로 영양성분(비·환원당, 조지방, 조단백질)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Tukey HSD 사후검정, PSL-DA, VIP score, 선형 판별분석(LDA), 단계선택 판별분석(SDA) 등 다양한 통계 기법을 활용한 결과, 휘발성 향기성분이 원산지 판별의 핵심 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강릉, 부안, 보성 세 지역의 원산지를 100% 정확도로 식별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지윤 석사과정생은 “장혜원 교수님의 세심한 지도 덕분에 연구를 완성할 수 있었다”며 “지역 특화 감자 품종의 원산지 판별 연구를 지속해 지리적 표시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채운정 미래응용과학학과 석사과정생은 ‘대체 해조육 향미 소재 개발을 위한 육류 제품의 향미 프로파일링 연구: HS-SPME Arrow-GC/MS 기반 휘발성 화합물 분석(Comparative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profiles in raw and cooked beef patties using HS-SPME-Arrow-GC/MS)’을 주제로 발표한 포스터로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이번 연구는 SPME-Arrow 기술을 활용해 조리 전후 소고기 패티의 향기 성분을 정밀 분석하고, 가열 공정에 따른 향기 변화와 주요 향기 활성 성분을 규명하는 등 대체 해조육 개발을 위한 향미 프로파일링 기반을 마련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채운정 석사과정생은 “장혜원 교수님의 따뜻한 격려에 깊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대체해조육의 향미 구현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펼칠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김지민 식품영양학과 석사과정생은 ‘Colorimetric analysis of cookies prepared with amino acid-fortified spent coffee grounds as a flour substitute’를 주제로 연구 결과를 발표해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김지민 석사과정생은 식용 가능한 식품 부산물의 잠재적 가치에 주목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업사이클링을 연구 주제로 삼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미노산을 조합한 커피박(spent coffee grounds)으로 밀가루 일부를 대체하여 쿠키를 제조한 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색상 품질 변화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김지민 석사과정생은 “큰 학회에서 연구실을 대표해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하게 되어 매우 기쁘고, 김재철 교수님과 연구실 학생들의 많은 도움 덕분에 뜻깊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이번 성과는 우리 대학 미래응용과학학과와 식품영양학과가 식품과학 분야의 최신 연구를 선도하고, 대학원생들의 실질적인 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해온 결과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우리 대학은 앞으로도 미래 식품산업을 이끌어갈 실무 중심의 연구인재를 양성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