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85647
작성일
2019.10.23
수정일
2019.10.23
작성자
박물관
조회수
1192

동경(銅鏡)

동경(銅鏡)


거울은 청동제의 감(鑑 : 큰 대야)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측된다. 감의 안에 물을 담아 얼굴을 비추어 보다가 물이 없어도 얼굴이 비치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동경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청동기 시대에 이미 정교한 작품이 만들어졌으나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는 유물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고려시대에는 많은 유물이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고려시대의 동경은 고려의 독자적인 동경과 중국의 동경을 본떠 만든 것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동경의 크기가 커지고 두께가 얇아지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형태와 특징> 동경은 동판의 표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게 한 것으로, 뒷면에는 다양한 문양을 새겼다.  동경의 형태는 가장자리의 모양에 따라 원형, 방형, 장방형, 화형(花形), 능형(稜形)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동경은 중앙에 꼭지와 꼭지를 둘러싼 유좌(鈕座)가 있다. 유좌를 감싸는 것이 내구(內區)이다. 내구는 뒷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문양이 들어간다. 내구의 문양에 따라 동경의 특색이 나타난다. 내구에는 흔히 계권(界圈)이라고 부르는 구획이 있는데, 계권이 있는 경우 안쪽을 내구, 바깥쪽을 외구(外區)라고 부른다. 동경의 가장 바깥쪽은 연(緣)이라고 한다.


동경(銅鏡)



이 동경은 원형으로 내구에 비둘기 두 마리와 초화문을 돋을새김으로 새겼고, 외구에도 초화문을 새겼다. 


동경(銅鏡)



시대
고려시대
크기
13.4*0.3
등록번호
747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