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정기배달, 정기구독을 받는다고 하면 우유, 신문 이런 정도가 생각이 나시죠. 그런데 우리는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 이런 정기구독 서비스가 온갖 서비스와 물건들로 퍼져가고 있습니다. 조금 더 돈을 쓰면 편하게 살 수 있다, 여기에 사람들이 적응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권애리, 엄민재 기자가 같이 이 현상을 짚어봤습니다.
<기자>
서울 도심에서 혼자 사는 30대 직장인 김륜환 씨의 아침은 밤새 문 앞에 놓인 깨끗한 새 수건과 이불을 들여놓는 것으로 시작됐습니다.
배달돼 온 전용가방에서 오늘 아침부터 한 주 동안 쓸 보송보송한 새 수건 5장을 꺼내 정리하고 지난 한 주 동안 빨랫감으로 쌓인 5장은 세탁기가 아니라, 빈 가방에 담아 다시 문 앞에 내놓습니다.
역시 아침에 배달된 새 면도날로 출근 준비를 하고 집을 나서기 전 새 침구를 꺼내 놓은 대신, 지난 한 달간 덮고 잔 이불은 그대로 밖으로 내놨습니다.
출근길 지하철에서는 보통, 매달 1만 원 정도 이체해 놓고 원하는 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는 e북 서재에서 책을 골라 읽습니다.
쓰고 버리는 면도날을 제외하면 김 씨가 소유하는 것은 이 중에 하나도 없습니다.
수건, 침구, 면도날, 도서 다 합쳐 한 달에 10만 원 안팎의 구독료를 들여 사용만 한 뒤 돌려주고 주기적으로 새것을 또 받아쓰는 생활, 세탁, 배달, 수거, 교체 모두 각각의 서비스업체 몫입니다.
[김륜환/'구독 서비스' 업체 이용자 : 남자 혼자 살다 보니까, 침구를 교체한다거나 (하기 어렵고) 빨래의 양이 적게 나오는데, 수건 같은 것들 빨기 번거롭고 귀찮은 일이거든요. 제가 신경쓰지 않아도 교체만 하면 되니까 그런 점에서 편리한 것 같아요.]
신문이나 잡지, 우유를 배달시키거나 연간 회원권을 끊어 이용하는 헬스클럽처럼 생활 전반에 걸친 서비스를 구독하는 이른바 '구독경제'의 등장입니다.
---
<기자>
소비자는 소유하지 않고 사용만 하는 만큼 관리나 저장, 폐기에 대한 부담이 사라집니다.
[원기욱/'수건 구독업체' 대표 : 1년에 1번씩 바꾸고 있고요. 염색약이 묻거나 화장품이 묻어서 지워지지 않는 거는 전량 폐기하고 있습니다. 세탁물이 거의 60~70% 줄어든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이런 구독경제는 단순한 생활용품을 넘어 체험을 중시하는 분야로 다양하게 확산할 기세입니다.
한 자동차 업체가 올해 초부터 시범 시행 중인 차량 구독 서비스는 월 72만 원을 내면 3종류의 신형 차량을 수시로 바꿔가며 탈 수 있고 고가 차량에 대한 시승권도 줍니다.
차량 관리는 업체의 몫입니다.
수억 원을 호가하는 스포츠카 여러 대를 바꿔가며 몰 수 있게 해주는 해외의 인기 서비스를 국내로 들여온 겁니다.
집에 거는 그림을 정기적으로 바꿔주거나, 월 1만 원의 회비로 제휴 술집 200곳에서 첫 잔을 무료로 마시는 서비스도 모두 체험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이향은/성신여대 서비스·디자인공학과 교수 : 공유보다는 조금 더 짧고 순간적인 개념인 바로 점유. 적은 돈으로 어 나 이거 한 번 체험해 볼까, 이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나 체험의 욕구가 굉장히 큰 밀레니얼 세대들에게 구독 경제가 확산이 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업체들은 제품과 서비스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이점과 특히 정기 구독료로 안정적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월정액 회원고객 유치로 전략을 바꾸고 있습니다.
문제는 신뢰성입니다.
소비자가 낸 비용만큼 가치 있는 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는 겁니다.
소비자원의 조사에서는 구독경제 경험자 대부분이 앞으로도 이용할 것이고 주변에도 추천한다고 얘기했지만, 20%의 소비자는 손해를 봤다고 느낀 적이 있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희, VJ : 오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