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서비스경영전공 (Aviation Service Management Major)
최신 커리큘럼을 자랑하는 국내 유일의 ‘항공서비스경영학 석사학위’ 과정
- 교육목표
-
1) 문화예술과 문화산업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항공서비스, 항공경영, 항공엔터테인먼트, 항공법제, 글로벌경영, 관광 등 항공경영 분야를 심화시켜 통섭적 역량을 지닌 항공서비스경영 전문가를 길러내는 석사학위 과정입니다.(4학기 또는 5학기)
- 전공특징
- 본 전공은 국내 대학원에서 유일하게 ‘항공서비스경영 전공’으로 특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뚜렷한 교육 목표에 따라 열정적인 교수진과 성취동기가 강한 학생들이 혼연일체되어 멋진 학풍을 조성함으로써 매력적인 전문가 육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소정의 과정을 마치면 다른 대학원과 달리 특별하게 ‘항공서비스경영학 석사’ 학위를 수여합니다. 남성도 입학이 가능하며 항공관광 관련 기업이나 기관 등에서 항공서비스경영 분야 리더로 성장하고 교수직, 연구직 등으로 진출하는데 유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항공 분야에 재직 중인 입학생들에게는 항공 전문가 육성을 위해 매학기 등록금의 30% 이상에 해당하는 기본 장학금과 성적 장학금 등 풍부한 장학 혜택을 부여하며, 모교 출신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는 학부 졸업생들의 재교육 서비스 확대 차원에서 추가로 장학 혜택을 제공합니다.
- 교육과정
-
- 문화마케팅(Culture Marketing)
: 3학점. 문화마케팅 기본이론을 토대로 문화 마케팅 전략과 사례를 집중 탐구한 뒤 각 전공과 연계하여 효과적인 문화 마케팅 프로그램을 창안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문화산업론(Studies in Culture Industry)
: 3학점. 문화산업 전반을 집중 탐구하고 직관을 넓혀 문화산업예술대학원의 각 전공 분야와 융합 방안을 탐색하여 전공별 실무에 활용하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 항공산업세미나(Seminar in Aviation Industry)
: 3학점. 항공산업의 최신 동향과 흐름을 전체 항공산업, 대형 항공사(FSC)와 저가 항공사(LCC), 개별 항공사별로 파악하여 개선점과 발전 방향을 심층 탐구 및 토론한다. - 차세대항공산업론(Studies in Future Aviation Industry)
: 2학점. 세계 또는 권역별 항공산업의 특징을 살펴보고 위성 및 우주 개발, 첨단 항공기 개발 등 차세대 항공산업 준비 상황을 심층 탐구함으로써 변화 양상을 예측하는 능력을 기른다. - 항공사경영론(Airline Operation Management)
: 2학점. 항공사 경영을 조직 구성과 운용, 사업 전략, 경영 실적 관리, 지속가능한 경영 전략 마련 등 다각도에서 탐구하고 그 변천 과정과 트렌드를 탐색한다. - 항공사 PR과 위기관리(Airline’s PR and Crisis Management)
: 3학점. 항공사의 경영과 마케팅, 대외적 이미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항공사 홍보와 위기관리에 대하여 기본 이론과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 항공고객과 서비스 연구(Studies in Flight Customers && Service)
: 2학점. 항공 고객과 서비스 매뉴얼의 특성을 항공사 크기별(FSC, LCC), 항공사별, 노선별, 국가별, 서비스 과정별(예약, 발권, 탑승, 기내)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한다. - 항공사인사조직론(Airline’s HR Organization Management)
: 2학점. 항공사의 경영을 이끄는 사무직, 지상직, 승무직, 조종사직, 기술직 등 인적자원의 선발, 육성, 조직 소통과 리더십 강화, 노사관계 등의 전략을 연구한다. - 항공법제정책론(Studies in Aviation Law & Policy)
: 2학점. 항공산업, 항공운항, 안전을 규율하는 각종 항공관련 법제와 역대 정책을 탐구하여 전문가로서 지식과 적용 수준을 높인다. - 항공물류론(Studies in Aviation Logistics)
: 2학점. 항공물류 산업에 속하는 기존의 항공 화물과 운송, 새롭게 부상한 해외 직구와 드론(Drone)을 이용한 신생 운송사업 등 물류산업 전반을 학습한다. - 글로벌관광경영론(Studies in Global Tourism Management)
: 2학점, 관광학, 관광경영 이론, 실무에 대한 학습을 기초로 항공산업과 직결되는 관광산업의 흐름과 동향을 국제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 공항경영론(Studies in Airport Administration)
: 2학점. 국내외 공항 운영 현황을 사례별로 탐구하고 수요 확대와 기능 강화에 초점을 둔 주요 공항의 경영전략을 성장 전략과 연동하여 심층 연구한다. - 호텔레저경영론(Hotel & Leisure Management)
: 2학점. 항공 분야와 연계된 호텔, 리조트, 테마파크, 놀이공원, 스키장, 콘도미니엄, 골프장, 워터파크, 카지노, 경마 등 호텔 레저산업 전반의 경영 메커니즘과 동향을 학습힌다. - 여행상품개발론(Studies in Tour Packages Development)
: 2학점. 각국의 일반 취항지와 특수지역 교통 시스템 및 지역 사정과 연계하여 경쟁력이 높은 창의적인 여행상품을 개발하여 실제 관광경영에 적용하는 감각과 노하우를 배양한다. - 지속가능 경영과 CSR(Sustainable Management & CSR)
: 3학점. 기업의 최대 관심사인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활동(CSR)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계획 및 실행해야 하는지,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고 항공산업에 적용한다. - 글로벌 문화연구(Studies in Global Culture)
: 3학점. 항공기의 안전한 취항과 쾌적한 관광 설계에 핵심이 되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를 취항지 중심으로 파악하여 항공 및 관광 실무에 활용한다. - 소셜미디어와 e비지니스(Social Media && e-Business)
: 3학점. 소셜미디어의 본질을 이해하고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새롭게 부상한 e비지니스의 이론과 과정을 학습하여 항공서비스산업 등에 적용할 수 있다. - 서비스창업론(Studies in Service Start-up)
: 3학점. 서비스 및 연관 분야의 틈새시장을 공략할 서비스경영론, 창업 이론, 법제, 전략, 비즈니스 모델 개발법을 체계적으로 학습해 창업의 바탕을 다진다. - 서비스창업세미나(Seminar in Service Start-up)
: 2학점. 창업의 기초이론인 서비스창업론 수강을 바탕으로 실제 서비스 분야 창업이 가능한 수익모델을 연구하여 개인별로 발표하면서 그 성공 가능성, 개선점 등을 타진한다. - 논문작성법(Law Thesis and Publication Manual Study)
: 3학점. 항공서비스경영학 석사과정에 적합한 학술 논문과 석사학위 논문 작성에 필수적인 논문 작성 절차와 원칙을 학습하고 실제 적용하여 실습한다. -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 3학점. 대학원 연구, 학술논문, 학위논문 작성에 필요한 다양한 연구방법과 조사방법을 기초부터 학습하고 숙달함으로써 독립적 연구를 수행할 능력을 갖춘다. - 통계와 빅데이터(Statistics && Big Data)
: 2학점. 대학원 연구, 학술논문, 학위논문 작성에 유용한 각종 통계와 빅 데이터 분석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숙달하여 실제 연구에 적용하도록 한다. - 연구프로젝트1(Research Project 1)
: 3학점. 항공서비스 관련 분야 기초 연구과제를 선정하여 그간 학습한 연구방법과 논문작성법 등을 토대로 심층지도를 통해 완성한다. - 연구프로젝트2(Research Project 2)
: 3학점. 항공서비스 관련 분야의 심화 연구과제를 선정하여 그간 학습한 연구방법과 논문작성법 등을 토대로 심층지도를 통해 학술논문 및 연구 과제를 완성한다.
- 문화마케팅(Culture Marketing)
- 이수절차
-
본 전공에서는 4학기 또는 5학기 과정 내에 논문트랙은 24학점 이상을 정상적으로 수강하고 지도교수의 지도 하에 논문을 작성하여 심사에 통과하여야 하며, 비논문(학점) 트랙은 30학점 이상을 정상적으로 수강하고 졸업시험(소정의 2과목 응시)을 차례로 통과하여야 학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수절차 테이블 절차, 이수학점, 영어시험, 졸업시험, 프로포잘, 논문심사, 졸업사정
절차 이수학점 영어시험 졸업시험 프로포잘 논문심사 졸업사정 논문트랙 24 대학원 영어시험 면제
(항공업계 입사 시 영어시험을 이미 치렀기에 중복요인 철폐)면제 연구계획서
심사평사학위논문제출
및 심사학위 취득 비논문트랙 30 2과목 평가 - -
- 입학·수학 문의
-
본 대학원의 항공서비스경영 전공의 입학과 수학 등에 관한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보다 상세한 문의와 상담은 아래 연락처로 하시면 친절하게 안내하여 드리겠습니다.
입학 문의·상담 → 인터넷 원서 접수 → 서류 접수 → 면접고사 → 합격자 등록 → 입학
- -전화 : (02)920-7070
- -이메일 : airsm@sungshin.ac.kr
공공미술전공 (Public Art Major)
- 교육목표
- 도시환경미술과 관련된 기획, 설계, 조형, 시행 등의 전 영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함으로써 도시 환경미술과 공공미술 전문가를 육성한다.(문의: 대학원 교학팀 02-920-7070)
- 교육과정
- 교수소개
한국문화콘텐츠전공 (Korean Cultural Contents Major)
- 전공소개
- 한국문화콘텐츠전공은 한국문화의 원형(One Source)을 토대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콘텐츠를 기획해 다각적으로 활용(Multi Use)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석사학위과정 (문의: 대학원 교학팀 02-920-7511)
- 교육목표
-
교육목표에 대한 표 교육목표, 핵심역량 및 졸업 후 진로 분야
교육목표 핵심역량 졸업 후 진로 분야 한국문화 교육전문가 한국문화를 학습대상에 부합된 교육콘텐츠로 구성하여 지도하는 역량 대학(원), 해외 한국문화원, 세종학당, 국내 지자체 문화원, 사단법인 문화원 한국박물관 큐레이터 한국의 문화유산을 전시, 관리하고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역량 국공립박물관, 사립박물관, 대학박물관, 지자체 문화재단, 기업 문화재단 한국문화 상품기획자 한국문화의 가치를 내재한 상품을 개발하여 비즈니스를 실행하는 역량 한국문화상품개발기업, 지역문화상품 컨설팅기업, 기업 산하 복합문화공간
- 교육과정
-
- 교과목 소개
-
교과목 소대 에대한 표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한국문화콘텐츠
(Korean Culture Contents)K-Style의 뿌리인 한국의 의식주, 세시풍속, 가족윤리, 여가 관련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다. 한국예의문화
(Korean Propriety Culture)한국인의 예의문화를 토대로 인간관계와 인성교육으로의 발전방안을 모색한다. 한국의례문화
(Korean Rites Culture)한국인의 일생의례의 원형과 의미를 탐색하고 문화적 가치를 조명한다. 한국차문화
(Korean Tea Culture)차에 대한 인문학적, 자연과학적 접근을 토대로 차의 개념, 역사, 효능, 산업을 연구한다. 한국복식문화
(Korean Trimming Culture)한국복식의 역사와 특징 파악, 다양한 복식별 구성과 착장방법 및 활용 학습한다. 한국음식문화
(Korean Food Culture)한국음식의 역사와 종류를 학습하고 새로운 K-Food 개발에 대한 실무역량을 습득한다. 한국공예문화
(Korean Crafts Culture)한국공예의 개념, 분류, 역사를 탐구하고 K-Craft로서 현대적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대중문화
(Korean Popular Culture)한류에 대한 세계인들의 관심에 부합하는 대중문화의 내용을 분석해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에 활용한다. 한국문화지도론
(Theory of Korean Culture한국문화 체험교육의 대상별 지도 목표, 내용, 방법의 구성에 관한 제반 이론을 학습한다. 한국문화지도 현장실습
(Practical Training for Korean Culture Instruction)유아, 청소년, 성인, 외국인 등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한국문화 체험교육의 현장실습으로 지도 능력을 배양한다. 한국문화콘텐츠세미나 1
(Seminar of Korean Culture Contents 1)한국문화콘텐츠의 분야별 주제 세미나로 활용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한국문화콘텐츠세미나 2
(Seminar of Korean Culture Contents 2)심화된 주제의 세미나를 통해 한국문화콘텐츠 연구의 역량을 증진한다. 한국박물관학
(Korean Museology)박물관의 전시, 교육운영 및 경영관리에 필요한 지식과 현장 경험을 습득한다. 한국문화전시기획
(Planning of Korean Culture Exhibition)한국문화에 관한 전시 계획부터 실제 구현에 이르는 역량을 배양한다. 한국문화콘텐츠연구방법론
(Methodology of Korean Culture Contents)한국문화콘텐츠의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방법 설계 및 논문 작성에 관한 전문 지식을 습득한다. 한국문화콘텐츠기획
(Planning of Korean Culture Contents)한국문화의 원형을 토대로 새로운 문화 축제 및 행사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한국문화콘텐츠와 상품 개발
(Korean Culture Contents & Product Development)창의적인 아이디어로 한국문화콘텐츠를 활용하는 다양한 문화상품 개발의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문화콘텐츠마케팅
(Marketing of Korean Culture Contents)한국문화콘텐츠의 문화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증진시키는 마케팅 전략을 탐구한다.
문화내러티브 콘텐츠창작 전공
- 전공소개
- 본 전공은 ‘인식론적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모든 종류의 문화 콘텐츠를 포함한 문화 현상을 내러티브의 일환으로 파악한다. 문화적 현상을 바탕으로 내러티브가 이루어진 다는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나, ‘내러티브가 문화를 구성한다’, 혹은 ‘문화가 곧 내러티 브이다’라는 새로운 관점을 바탕으로 문화 콘텐츠가 구성되는 여러 가지 원리를 연구 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가 다양한 층위의 문화적 코드와 리터러시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내러티브학(서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그것을 다시 콘텐츠 창작으로 승화할 수 있는 여러 층위의 방법 론을 습득한다.
- 교육목표
-
1. ‘문화내러티브’의 핵심 개념인 ‘인식론적 구성주의’를 이해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론적 지식을 습득한다.
2. 문화콘텐츠와 문화현상을 ‘문화내러티브’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비평, 기획, 제작 할 수 있는 방법론을 함양한다.
3. 문화내러티브 이론을 이용해 문화 콘텐츠 생산 능력을 기르고, 다양한 전공과 융합, 연계하여 실무적 경험을 쌓는다.
문화예술창업전공
- 전공소개
- 문화예술창업전공은 문화, 예술, ICT 융합분야를 중심으로 창업에 필요한 전문성과 실무능력을 갖춘 창업 전문가를 육성하는 전공임. (예비)창업자가 성공적인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창업 예비 단계, 창업 사업화 단계, 창업 성장 단계의 창업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교육 과정이 마련된 석사학위과정임.(문의: 대학원 교학팀 02-920-7070)
- 교육목표
-
문화혁신! 실행창업!
① 문화 예술 기반의 통섭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교육,
②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고 실제 창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
③ 산관학연 네트워크를 활용한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창업을 실행하고 문화의 혁신을 이루고자 함.
- 교육과정 요약
창업예비단계 | 창업사업화단계 | 창업성장단계 |
---|---|---|
기업가정신과 창업 | ||
문화예술창업사례연구 | ||
창업세미나 | ||
창업프로젝트 | ||
문화예술산업에 대한 이해 | 문화예술경영 | 콘텐츠 비즈니스 전략 |
문화플래너 | 창업실무 | 창업경영 |
디자인씽킹 | 창업자금조달 | 창업마케팅 |
문화기술과 창업 | 제품프로토타이핑 | 액셀러레이터 실무 |
브랜드경험디자인 | 창업과 표준 | 고객경험관리 |
서비스경험설계와 전략 | 창업과 지식재산권 | 창업과 분쟁해결 |
- 졸업기준
구분 | 학점 졸업 | 창업프로젝트 |
---|---|---|
종합시험 | 수강과목 2과목 ° 합격기준 : 70점 이상/100점 만점 ° 70점 미달시에는 차기 학기 재시험 |
없음 |
필수사항 | 30학점 이상 | ∎과목학점 : 24학점 이상 ∎사업계획서, 사업보고서, 전시, 논문 중 택일 |
- 교육과정
-
교육과정에 대한 표 교육목표, 진료 및 취업분야
교과목명 (영문명) 학점 교과목 해설 기업가정신과 창업
(Entrepreneurship)3 변화하는 환경에서 창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능력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사례에 대해 학습하고 모험정신을 가지 고 새로운 사업기회에 도전 하여 성공하는데 필요한 창업기 업가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문화예술창업사례연구
(Case study on culture and arts Start-up)3 문화예술 분야의 창업에 대한 성공 및 실패사례를 분석한다. 특히 문화예술과 IT기술을 접목한 창업모델과 사례연구를 통해 수강생들의 창업아이템을 고도화하도록 지원한다. 창업세미나
(Start-up Seminar)3 창업프로젝트를 준비하기 위한 과목으로 문화 예술 ICT 융합 분야 전반의 현황에 대하여 전문가를 초청하여 발표를 듣고 토론한다. 창업프로젝트
(Start-up Project)3 문화 예술 ICT분야 관련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프로젝트 결과물로 사업계획서, 사업보고서, 작품전시, 논문 중 택일하여 지도교수와 협의 후 팀프로젝트, 팀티칭의 형태로 진행한다. 엑셀러레이터 실무
(Consumer Mentality Rearch)3 창업 엑셀러레이터들의 형태와 구조의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창업자를 육성하기 위한 방법을 이해한다. 창업기업의 지원을 위한 내용과 시스템들을 파악하고 글로벌 엑셀러레이터들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과 체계적인 창업지원 방법을 학습한다. 창업과 표준
(Start-ups and Standards)3 산업별 소비자 안전 표준 등 필수적 인증 등을 학습하고 창업에서 적용 사례를 탐구한다. 창업 마케팅
(Start-up marketing)3 한정된 자본으로 구현가능한 SNS 등의 최신 홍보 도구를 익히고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마케팅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3 공감하기, 정의하기, 아이디어내기, 시제품 만들기, 시험하기의 5단계 프로세스를 통해 인간 중심의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을 진행한다. 브랜드경험디자인
(Brand Experience Design)3 브랜드경험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성공적인 브랜드경험디자인사례를 학습한 후 이를 바탕으로 창업과 연계된 브랜드 경험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제품 프로토타이핑
(Product Prototyping)3 창업 아이템으로 제시되는 제품의 포로토타이핑 사례 및 방법을 분석 연구한다. 창업 마케팅
(Start-up Marketing)3 한정된 자본으로 구현가능한 SNS 등의 최신 홍보 도구를 익히고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마케팅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문화플래너
(Culture Planner)3 문화콘텐츠분야 스타트업의 창업 전 단계에 걸쳐 창업실행을 지원하고 투자 평가 및 연계, 문제해결, 컨설팅 및 코칭을 수행한다. 창업과 지식재산권
(Start-ups and IP)3 창업과 관련하여 지식재산권(특허, 상표, 저작권, 영업비밀보호 등)의 획득과 이용 그리고 그와 관련한 법률관계를 연구한다. 창업과 분쟁해결
(Start-ups and Dispute resolution)3 창업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각종 민/형사상 또는 행정상 분쟁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원만히 해결하는 법적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서비스 경험 설계와 전략
(Service experience planning and strategy)3 혁신적 서비스경험 설계를 위한 고객 접점(터치포인트) 별 전략을 다양한 이론과 사례를 통해 이해하고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실습한다. 고객 경험 관리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3 서비스 수명주기에 따른 고객 경험을 이해하고, 고객 경험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론 및 사례를 학습하며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실습한다. 문화기술과 창업
(Culture Technology and Start-up)3 게임엔진, 콘텐츠 플랫폼, VR/AR, 그래픽 및 컴퓨터비전 기술 등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문화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한다. 문화예술산업에 대한 이해
(Study on Arts and Culture Industry )3 문화예술 영역은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예술 관련 소프트 신경제를 토대로 하고 있다. 이 분야 벤처 기업 창업, 스타트 업 (start up) 준비와 활동을 위해서 문화예술과 경제, 산업의 환경에 대해 개론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학문적으로는 문화경제학, 문화산업, 콘텐츠학 국내외 성과물들을 활용한다. 문화예술경영
(Business Administration of Arts and Culture)3 문화예술 창업을 경영학 전반과 연관하여 학습한다. 벤처 기업 창업 이후 성장시키는 스케일 업(scale up) 단계에 맞춰 순수 문화예술, 대중 문화예술 등 여러 장르를 통괄하며 개별 시장 특성에 맞는 벤처 기업 경영 비즈니스 활동 경영학 실무 내용을 학습한다. 콘텐츠 비즈니스 전략
(Strategic Analysis of Content Business)3 문화예술 벤처 기업을 성공적인 유니콘 기업으로 스타 업(star up) 시키기 위한 특별한 전략 프로그램을 다양한 사례 분석, 매뉴얼화도 가능한 전략 프로그램 형태로 개발하고 익힌다. 글로벌 시장 공략과 경쟁력 제고를 포함한 비즈니스 모델 전략과 수익에 특화한 사업 전략도 포함한다. 창업실무
(Start-up Practice)3 실전 창업에 필요한 제반 창업실무를 배우는 과목이며,창업에 필요한 법규, 창업절차, 정부정책 , 사업자등록증 발급등이 포함되며, 창업아이템 발굴에 필요한 프로세스도 포함된다. 창업자금조달
(Start-up Financing)3 창업기업들에게 가장 필요한 자금조달에 대한 프로세스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정부주도형 창업지원정책을 통한 자금조달, 민간부분을 통한 자금조달 및 외부 투자를 통한 자금조달 방법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창업경영
(Start-up Management))3 창업가들이 창업사업을 하는데 가장 필요한 제반 경영의 프로세스 및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인사, 회계, 노무, 세무등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창업에 필요한 필수요소들을 제공한다.
- 관련분야 교원 확보 현황
-
관련분야 교원 확보 현황 표 관련분야 교원 확보 현황
구분 소속 직위 성명 학위명 전공 교내 전임교원 서비스디자인공학과 조교수 강효진 박사 산업디자인 연구, 산학협력단 조교수 권치규 박사 미술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김호성 박사 전자공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심상민 박사 경영학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과 조교수 양수진 박사 소비자응용 경영학과/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이성근 박사 경영학/통계학 산업디자인과 부교수 장혜진 석사 시각디자인 산업디자인과 교수 장선희 박사 정보디자인 산업디자인과 교수 최인환 석사 제품디자인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과 교수 허경옥 박사 소비자학 지식산업법학과 부교수 황태희 박사 법학 구분 소속 직위 성명 전문영역 교외 강의인력
(겸임,초빙,강사 등)마그나인베스트먼트
부사장 배준학 창업투자 한국기술경영원 대표이사 황병석 경영컨설팅 N15 대표이사 류선종 Accelerator 아시아블록체인
공공서비스
산업협회
사무총장
이욱희
블록체인한신회계법인 회계사 이철 창업 회계, 경영
특허법인 명인
변호사
정은주
특허, 지적재산권
고려대학교
교수
지상철
창업경영
- 활동분야
구분 | 직업, 직무 |
---|---|
창업 | 문화콘텐츠분야 창업, 예술산업분야 창업, 생활문화분야 창업 |
취업 | 생활•문화•예술 관련 전략기획팀, 생활•문화•예술 관련 신상품 개발팀 |
활동 | 창업플래너, 창업컨설턴트, 문화예술컨텐츠지도사, 창업지도사 |
공연예술전공 (Performing Arts Major)
- 전공소개
-
- 본 대학원 공연예술전공은 우리나라 최초 융합문화예술대학으로 설립된 학부와 연계되어 있다.
- 우수한 교내 교∙강사진을 비롯하여 저명한 이론가 및 현장예술가들이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미래 공연예술계 흐름을 선도할 수 있는 교육체제를 갖추어 최적화된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면모를 갖추고 있다.
- 문의: 대학원 교학팀 02-920-7511
- 교육목표
-
-
공연예술분야의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획, 제작, 홍보, 평가 전 과정의 전문인력, 특히 예술교사(Teaching Artist) 양성을 목적으로, 공연계 각 분야에서 요구 되는 학문적 연구 및 교육을 통해 인류와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능한 무용학 전문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이론과 실기능력을 배양하며 이를 통해 각 영역별 교수내용과 방법론을 습득함으로써 대상에 따른 창의적 교육콘텐츠의 개발과정을 학습한다.
-
- 교수소개
-
- 본 대학원 공연예술전공은 우리나라 최초 융합문화예술대학으로 설립된 학부와 연계되어 있다.
- 우수한 교내 교∙강사진을 비롯하여 저명한 이론가 및 현장예술가들이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현예술치료전공 (Expressive Arts Therapy Major)
- 전공소개
-
- 예술과 건강이라는 창조적 웰빙(Creative Wellness)개념과 전략으로 창의적 건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
전 세계(프랑스,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문화부와 복지부는 협력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해 문화 예술 활동으로 예술을 처방 받는 창조적 웰빙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 문의: 대학원 교학팀 02-920-7511
- 교육목표
-
-
본 전공은 임상 및 수퍼비젼과 실용성 연구중심 방법론을 통해 탁월한 현장직무 수행 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
본 전공은 향후 무용동작치료전공, 음악치료전공, 미술치료전공, 심리치료전공 등이 협업하는 성신여자대학교 융합표현예술치료대학원 석/박 과정 개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교육과정
- 교수소개
-
-
표현예술치료 전공은 최고의 교수진과 함께 예술을 통해 창조적인 건강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글로벌 인재양성에 가치를 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