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송미숙교수님(명예교수) |
---|---|
연구분야 | 19/20세기 유럽 및 미국미술사와 미술이론 |
담당과목 | 서양미술사 |
전화번호 | 02)920-7254 |
이메일 | misooksong@gmail.com |
학력
기간 | 내용 |
---|---|
1966 |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 수석 졸업, 불어학석사 |
1971 | University of Oregon, Department of Art History 미술사석사 |
1980 | Pennsylvania State U. Department of Art History 미술사박사 |
경력
기간 | 내용 |
---|---|
2005년 5월~ 현재 | 사단법인 현대미술관회 감사 |
2003년 5월~현재 | 동아시아문화학회 회장 |
1982-현재 | 성신여자대학교 서양화과 (학부), 미술사학과 (대학원)교수 |
현재 | 서울시 건축장식물 심의위원, 국립현대미술관운영 심의회의 위원 |
2004-2006년 2월 | 사단법인 현대미술관회 평의원 |
2004-2005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베니스 엔날레 한국관 운영위원 |
2003-2004 |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전시자문위원회 부위원장 |
2002 | 에르메스코리아 미술상 심사위원, 문예진흥기금사업지원 심의위원 |
1982-2002 |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출강 및 논문지도 |
2001 | 국제 큐레이터 워크샵 위원장 |
2000 | 미디어_시티 서울 2000 총감독 |
1999 | 제 48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
1995-1999 | 삼성문화재단 내 호암미술관 관장 자문 및 현대미술부문 총괄 |
1995 | 여성미술제 기획위원 커미셔너 |
1993 | 작은조각 트리엔날레 아트 디렉터 |
1991-1993 | 서양미술사학회 회장 역임, 현재 당학회 고문 |
1989 | 서양미술사학회 창립위원장 및 부회장 역임 |
2003년 3월~2007년 2월 | 성신여대 박물관 관장 |
연구실적
기간 | 내용 |
---|---|
2005 | 로뎅과 우골리노 |
2003 | 미술사와 근현대: 성신여대출판부 |
2004 | 드가의 제스쳐: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
2002 | 미디어아트와 문화: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
2000 | Media_City Soul 2000 Festival, KOREANA |
1997 | 전환의 공간전-그 형식과 의미, 삼성문화재단 |
1997 | 20세기 미술전, 삼성문화재단 |
1997 | 사진 160년의 역사, 삼성문화재단 |
1996 | 구겐하임 걸작전, 삼성문화재단 |
1996 | 바우하우스의 화가들, 삼성문화재단 |
1995 | 국제스튜디오 프로그램 참가작가전 주제 : 자화성, 문예진흥원 |
1994 | 르네상스원형구조건축의 기원과 발전-1: [성베드로서당],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
1992 | 르네상스원형구조건축의 기원과 발전-1: [템피에토],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
1990 | 보들레르와 상징주의: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
1988 | 뉴욕 현대미술전, 호암갤러리 |
1995 | Art Vivant Contemporary Korean Artist(문범): 시공사 |
1994 | Art Vivant Contemporary Korean Artist(한만영): 시공사 |
1984 | Art Theories of Charles Blanc (1813-1882), UMI, Ann Arbor, Mi., |
저서
날짜 | 제목 | 발표잡지/출판사 | 저자 |
---|---|---|---|
2003 | 미술사와 근현대 | 성신여대출판부 | 송미숙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