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부 소개
-
수리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부는 수학과 통계학을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수적인 데이터사이언스와 핀테크 등의 융합분야를 아우르는 학부입니다. 탄탄한 수학과 통계학의 기반 위에 다양한 실습과목을 통해 현장적응력이 뛰어난 수리과학분야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수학전공은 연구·교육 분야 진출을 위한 순수수학 트랙과 수학적 자료 및 영상 분석 등 수학을 활용하는 산업·응용수학 트랙, 그리고 수학관련 스타트업 트랙 등의 진로트랙을 운영하여 수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습니다.
- ·핀테크전공은 미래형 금융서비스에 최적화된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ICT기반 금융암호보안 트랙, AI기반 지능형 금융서비스 트랙, 보험·금융 자격인(보험계리사, 공인회계사(CPA) 등) 트랙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수리과학을 기반으로 첨단 ICT기술과 금융이 융합된 스마트 금융 전문가로 성장하도록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통계학전공은 국가통계, 사회조사, 금융자료분석, 보험통계뿐만 아니라 바이오 인포매틱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통계분석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R, Python, SAS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통계적 방법론을 공부하는 것은 물론, 빅데이터사이언스전공, 핀테크전공, AI융합전공 등 관련된 여러 연계학문과의 융합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빅데이터사이언스전공은 통계학전공, 핀테크전공 뿐만 아니라 AI 융합전공 등과의 융합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과학적 분석기법의 적용을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데이터 사이언스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교육목표
-
- ·수학과 통계학을 기반으로 ICT와 금융 지식을 겸비한 수리과학 및 통계 분야 전문인력 육성
- 학부 인재상
-
- ·수학과 통계학을 기반으로 핀테크(FinTech)와 데이터테크(DataTech)의 디지털 혁신이 이뤄지는 금융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전문가 - ·수학과 통계학을 기반으로 핀테크(FinTech)와 데이터테크(DataTech)의 디지털 혁신이 이뤄지는 금융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전문가 - ·프로그래밍 실무능력에 훈련된 전문가
- ·수학과 통계를 산업에 적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전문가
- ·수학과 통계학을 기반으로 핀테크(FinTech)와 데이터테크(DataTech)의 디지털 혁신이 이뤄지는 금융시장에 능동적으로
- 전공능력
-
- ·창의적 콘텐츠 개발 전문성: 창의적 사고역량, 문제해결역량, 컴퓨터 프로그래밍 역량, 정보 해석/활용/처리 능력이 요구된다. 수학 지식을 바탕으로 수학의 이해를 돕거나 수리논리적 해법의 탐구를 경험하게 해주는 콘텐츠와 방법 개발을 위한 전공능력
- ·연구 전문성: 수학적 사고역량, 논리적 사고역량, 논리적 글쓰기 역량, 협업역량, 의사소통역량이 요구된다. 수학 또는 수학과 융합된 학문 분야의 심도 있는 주제에 관한 학문 연구를 위한 전공능력
- ·교육 전문성: 교과 전문성 역량, 교수학습설계·운영 역량, 학생지도·상담역량, 의사소통역량이 요구된다. 수학 이론을 알기 쉽게 풀어서 전달하고 이해시키는 교수법 증진과 개발을 위한 전공능력
- ·산업응용 전문성: 논리적 사고역량, 문제해결 역량, 컴퓨터 프로그래밍 역량, 정보 해석/활용/처리 능력, 의사소통 역량이 요구된다. 산업응용분야의 실용문제를 수학이론을 기반으로 추상적으로 모델링하고 문제 해결의 핵심 요소를 파악하며, 알고리즘 설계 또는 컴퓨터 구현을 이용하여 해법을 제시하는 전공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