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간호술이란
- 핵심간호술이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간호사 직무수행 중 빈도와 중요도가 높은 간호술로서 간호사 양성 교육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기술을 의미한다.
- 핵심간호술
- 핵심간호술
- 2022년~
| 핵심간호술 항목 |
난이도 |
| 1. 활력징후 측정 |
하 |
| 2. 경구투약 |
하 |
| 3. 근육주사 |
중 |
| 4. 피하주사(간이 혈당 검사 포함) |
중 |
| 5. 피내주사(전완의 내측면) |
상 |
| 6. 정맥 수액 주입(Infusion pump 혹은 syringe pump 사용 포함) |
상 |
| 7. 수혈요법 |
상 |
| 8. 간헐적 위관영양 |
중 |
| 9. 단순도뇨(straigh catheterization) |
중 |
| 10. 유치도뇨(indwelling catheterization) |
상 |
| 11. 배출관장 |
중 |
| 12. 말초산소포화도(Pulse oximeter)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EKG monitor) 적용 |
하 |
| 13. 비각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요법 |
하 |
| 14. 흡인 (Suction) |
상 |
| 15.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
중 |
| 16. 통증관리 |
중 |
| 17. 욕창관리 및 낙상예방간호 |
하 |
| 18. 배액관 관리(JP 또는 Hemovac) |
중 |
- 2011~2021
| 핵심간호술 항목 |
난이도 |
| 1. 활력징후 측정 |
하 |
| 2. 경구투약 |
하 |
| 3. 근육주사 |
중 |
| 4. 피하주사(간이 혈당측정 검사 포함) |
중 |
| 5. 피내주사 (전완의 내측 면) |
상 |
| 6. 정맥 수액 주입 |
상 |
| 7. 수혈요법 |
상 |
| 8. 간헐적 위관영양 |
중 |
| 9. 단순도뇨(nelaton catheterization) |
중 |
| 10. 유치도뇨(indwelling, catheterization) |
상 |
| 11. 배출관장 |
중 |
| 12. 수술 전 간호(심호흡 격려, 수술부위 피부준비 및 주의사항) |
중 |
| 13. 수술 후 간호(배액관-JP, Hemovac 관리, IV PCA 관리) |
중 |
| 14. 입원관리하기 |
하 |
| 15. 보호 장구 착용 및 폐기물관리 |
중 |
| 16. 산소포화도 측정(Pulse oximeter)과 심전도 모니터(EKG monitor) 적용 |
하 |
| 17.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요법 |
하 |
| 18. 기관 내 흡인 (endotracheal suction) |
상 |
| 19. 기관절개관 관리 (tracheostomy care) |
상 |
| 20.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
중 |
| 21. 구강간호 |
|
| 22. 침상목욕 |
|
| 23. 침상세발 |
|
| 24. 체위변경 |
|
| 25. Heparin lock을 통한 정맥주입 |
|
| 26. 통증사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