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文科學硏究』 의 작성지침에 따라 작성한 논문을 인문과학연구소 온라인투고시스템 ( https://sswuhri.jams.or.kr회원 가입후 투고) 을 통해 투고
-
- ①투고를 원하는 분은 번거롭더라도 각 투고 논문 공모의 지정 기일 까지 투고신청서를 이메일(human@sungshin.ac.kr)로 먼저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투고자에게 원고 작성 기간을 최대한 보장해 드리면서 편집 일정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이니 협조 부탁드립니다.
- ②반드시 투고규정에 맞추어 원고를 작성하되, 원고작성방식 및 심사규정과 관련된 세부사항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③투고 논문은 기존에 발표되지 않은 새로운 논문이어야 하며, 표절된 논문임이 밝혀지면 투고자에게 모든 책임이 있습니다.
- Ⅰ. 체재
-
- 1.편집용지는 <신국판 148*225용지>로 한다. 위15, 머리말12, 왼쪽18, 오른쪽18, 아래 15, 꼬리말 5, 제본 0
- 2.논문은 제목, 저자, 국문요지, 국문주제어, 본문, 참고문헌(삽입), Abstract 순으로 작성한다.
- 3.국문 논문의 경우 원고는 가급적 한글로 작성한다. 단, 학술용어, 인명, 지명, 고유명사, 한자 또는 외국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되기 어려운 경우, 한자 또는 외국어를 괄호 안에 사용할 수 있다.
- 4.장 → 1. 2. 3. / 절 → 1) 2) 3) / 항→ ⑴ ⑵ ⑶
- 5.Abstract에는 논문제목, 저자명(저자의 소속), 요약문, 주제어 5개를 기재한다. 국문요지와 국문주제어 5개는 논문 첫 페이지에, Abstract은 마지막 페이지에 배열한다. 요약문의 길이는 국문 600자 내외, 영문 300단어 내외로 한다.
- Ⅱ. 본문
-
- 1)글꼴은 신명조, 글자 크기는 11포인트, 줄 간격은 170%로 한다.
- 2)한글 집필을 권장한
- 3)한자가 꼭 필요한 경우는 ‘역사(歷史)'와 같이 쓴다. 고유명사의 경우는 처음에만 이렇게 하고, 이후 큰 문제가 없을 경우 한글로 쓴다.
- Ⅲ. 기호
-
- 1.( ) : 한자 또는 외국어의 병기, 부연설명, 묘호, 표 상단의 단위 표기, 연대.
- 2.“ ” : 출처를 밝히는 확실한 인용.
- 3.‘ ’ : 강조.
- 4.『 』 : 단행본, 신문 또는 잡지.
- 5.「 」 : 작품, 논문, 법률. 장절명.
- 6.고문헌이나 지도, 작품의 경우 독립된 저서나 작품은 ≪ ≫로, 도판이나 도엽명은 < >로 표시할 수 있다.
- Ⅳ. 인용문
-
- 1.글꼴은 신명조, 글자 크기는 9포인트, 줄 간격은 150%로 한다.
- 2.왼쪽 여백만 2칼럼 둔다.
- 3.사료(자료) 인용은 한글 번역을 원칙으로 한다. 금석문 등 번역이 불가능한 경우, 또 라틴어 원문 병기가 필요한 경우, 한자 등 해당 원문을 노출시킬 수 있다.
- 4.인용문의 출전 표시는 각주로 처리한다.
- 5.『인문과학연구』 수록 논문들을 적극 참고/인용하여 인문학 연구 성과의 활용을 도모한다.
- Ⅴ. 각주
-
- 1.글꼴은 신명조, 글자 크기는 9.5포인트, 줄간격은 140%로 한다.
- 2.단행본 : (편)저자명 (옮긴이), 출판연도[원본 출판연도], 책명, [출판지명:] 출판사명, 쪽수. 구미어 도서명은 이탤릭체로 표기
-
- 예):장병인, 1999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일지사, 139147쪽.
- 아서 라이트 (양필승 옮김), 1997[1959] 『中國史와 佛敎 Buddhism in Chinese history』, 신서원, 35쪽.
- 徐揚杰, 1995 『宋明家族制度史論』, 中華書局, 151160쪽.
- 旗田巍, 1972 『朝鮮中世社會史の硏究』, 法政大學出版局, 49쪽.
- Michael Sandel, 2010 Justice : What's the Right Thing to Do?, New York: Penguin, pp.7-11.
- 3.논문 : 저자명, 게재연도, 논문명, 학술잡지명, 권수, 호수, 학회명, 쪽수.
- 구미어 게재지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고 논문명은 큰따옴표(“ ”)로 표기
-
- 예):이승윤, 2001 「1950년대 박경리 단편소설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18, 한국현대소설학회, 1222쪽, 여기서는 12쪽.
- 참조: 이승윤, 2001 「1950년대 박경리 단편소설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18, 한국현대소설학회, 1222쪽, 여기서는 12쪽.
- P. A. Cohen, 1967 “Wang Tao and Incipient Chinese Nationalist” Journal of Asian Studies 264, pp. 559574, here p.560.
- cf. P. A. Cohen, 1967 “Wang Tao and Incipient Chinese Nationalist” Journal of Asian Studies 264, pp. 559574, here p.560.
- 4.고전이나 사료
-
- 예):『太祖實錄』 권 2, 원년 9월 丙申
- 『高麗史』 권 76, 百官志1 門下府
- 『燕巖集』 권 1, 「澹然亭記」
- 5.신문 : 필자, 「기사 제목」, 『신문명』, 발간일.
-
- 예):염상섭, 「시조와 민요」, 동아일보, 1927.4.30.
- 6.인터넷자료 : 제작자, 제작연도, “주제명”, 웹사이트 주소, (검색일자).
-
- 예):이욱,2009“영남 남인의 꿈, 삶 그리고 좌절”, http://www.koreanhistory.org/, (검색일 : 2012년 5월 2일).
- 7.재수록, 재인용
-
- 1)바로 위에서 인용한 경우
-
- 예):김철수, 2005 위 논문, 3쪽. / 최승희, 2001 위 책, 2530쪽, / Ibid., p. 25.
- 2)앞에서 인용한 경우
-
- 예):김철수, 2005 앞 논문, 3쪽 / 최승희, 2001 앞 책, 2530쪽. J. Rawls, 1971, op. cit., p. 33.
- 8.한 번에 여러 문헌을 언급해야 하는 경우에는 세미콜론(;)을 이용하여 구분한다.
- 9.참고문헌의 끝은 마침표로 마무리한다.
- Ⅵ. 참고문헌
-
- 1.원칙적으로 각주 표시 방식에 따른다. 단, 구미어 도서명은 저자의 성을 먼저 표기하고 콜론(:)을 삽입한다.
-
- 예):이승윤, 2001 「1950년대 박경리 단편소설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18, 한국현대소설학회, 12-22쪽, 여기서는 12쪽.
- 예):Sandel, Michael: 2010 Justice : What's the Right Thing to Do?, New York: Penguin, pp.7-11.
- 2.국문 참고문헌 (저자명의 가나다순 정리) 뒤에 외국어 참고문헌 (저자명의 알파벳 순 정리)을 적는다.
- 3.각 문헌은 마침표로 마무리한다.
- 4.4. UCI, DOI 가 있는 문헌의 경우 UCI, DOI를 삽입한다.
-
- 예):Chung, Hyeurn, 2017, 「Reading for Discords and Fissures: A Comparative Reading of Dangerous Liaisons and Untold Scandal 」,『人文科學硏究』35,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9-68쪽, 여기서는 61쪽, UCI : G704-SER000014263.2017.35..007, DOI : http://dx.doi.org/10.24185/SSWUHR.2017.02.35.3
- ⅥI. 표와 그림의 작성
-
- 1.그림(지도, 사진 및 도표)은 그대로 축소 인쇄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 2.표의 상단 우측에 (단위 : , )와 같이 표의 숫자가 나타내는 단위를 표기한다.
- 3.그림의 제목과 설명은 그 하단에,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에 기재한다. 주 및 출전은 그림과 표 하단 좌측에 기재한다.
- 4.그림(Figure)과 표(Table)의 일련번호는 그림 1. 또는 표 1. 로 한다.
- 5.그림과 표의 게재 위치는 필자가 해당 원고의 적절한 위치에 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