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linkedBooks,fnctNo=35
-
-
현대 일본어 문법
- 김원기 | 4.6배판 | 5,500원 isbn : 89-86092-20-4 93730
- 이 책은 일본어 학습자가 현대 일본어의 기초적인 지식을 터득하여, 학습자 스스로에게 문법적인 인식 내지는 지각을 갖게 함으로써, 올바르고 정확한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며, 아울러 대학에서 일본어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한 구어 문법 교재로 쓸 수 있도록 편성하였다. 내용은 주로 활용하는 품사, 즉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조동사 및 우리말과 거의 같은 체계이면서도 미묘한 뉘앙스에 차이가 있어 사용하기 어려운 조사에 대해 중점을 두고, 평이하면서도 현실 적용이 가능한 예문을 들어, 되도록 알기 쉽게 간단히 설명하였다. 그리고 학습 내용에 대해 응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문제를 통해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본어문의 해석 및 문제의 해답은 효율적인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별책으로 하였다. 또한 문법 용어라고 생각되는 것들은 한자(일본한자)로 표기하였으며, 그 읽는 법은 참고로 별책 맨 뒷부분에 수록하였다.
-
현대 일본어 문법
-
-
근대 한국 지식인의 대외 인식
- 총성의 | 신국판 | 10,000원 isbn : 89-86092-31-X 93340
- 조선조 말에 밀어 닥친 '서양의 충격'은 우주관에서 생활 방식에 이르는 전혀 이질적인 문명의 도전이었고, 막강한 힘을 배경으로 서양이 자신의 문명 기준을 비 서구 지역에 적응하는 전 세계적 규모의 도전이기도 하였다. 이 책은 조선조 말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서 당시 사상계를 양분했던 위정 척사파와 개화파 지식인들이 이에 대해 어떤 '상황의 정의'를 갖고 어떻게 응전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응전 내용을 자아 인식, 국제 정치관, 서구 문물관, 적아관(敵我觀)과 외교관 등 4개의 분석 단위로 압축하고, 3개의 시기로 나누어 대외 인식 변화의 역동성을 추적하였다.
-
근대 한국 지식인의 대외 인식
-
-
경제ㆍ경제사상
- 이주성 | 신국판 | 30,000원 isbn : 89-86092-41-7 93320
- 경제 사상사를 전공하고 이를 30년간 연구하여 온 저자는 그동아니 저널에 발표한 100여편의 논문 중 약 20편을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특히 1980년대 행한 종족이론, 리스트 경제 사상 연구 및 1990년대 말과 근년에 저술한 막스의 잉여 가치 학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스미스의 국부의 본질의 규명은 경제사상사 연구에 일점의 공헌을 하였다. 한문, 독문 및 중문으로 작성되어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몇 편의 논문들도 이번에 간행되는 저자의 정년 퇴임 논문집 속에 소개한 것이다. 이용의 편의를 위하여 색인을 덧붙였다.
-
경제ㆍ경제사상
-
-
Friedrich Lists Kritik an Adam Smith
- 이주성 | 신국판 | 30,000원 isbn : 89-86092-36-0 93320
- 오늘날 시장 경제 원리의 기초와 자유 방임주의 사상의 사상적 원천을 제공한 Adam Smith의 『국부론』의 내용을 요약하고 이에 비판을 전개한 Fr. List 의 「정치 경제학의 국민적 체계」의 주장점을 명시함으로써 두 사상가의 경제 사상적 의의를 다시 음미한 18C와 19C 두 고전의 요약서이다. 스미스 학석 체계, 리스트 경제 사상 및 리스트의 스미스 바판의 3개 장과 우리말 및 중문을 덧붙인 결론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이 두 사상가에 대한 서양의 문헌 뿐만 아니라 일본과 우리 국내의 방대한 문헌도 정리되었다. 색인도 작성되어 독문으로 저술된 양서의 형식도 완전하다.
-
Friedrich Lists Kritik an Adam Smith
-
-
한국산 사초과 식물
- 오용자 | 국배판 | 20,000원 isbn : 89-86092-40-9 93470
- 모기골속 2종, 방동산이속 20종, 바늘골속 12종, 황새풀속 3종, 하늘지기속 16종, 검정방동산이속 1종, 좀바늘사초속 1종 파가사리속 2종, 세대가리속 1종, 골풀아재비속 3종, 올챙이골속 16종, 노도고랭이속 1종의 외부 형태적 특징이 비슷하여 식별이 어려움으로 전체모양과 해부도를 그림으로 특징을 밝히고, 명양구조, 생식구조의 형태학적 특징을 재검토하여 상세한 해설을 하였다. 또한 광학 현미경과 주사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잎과 수과의 표피형의 미세구조와 잎과 줄기의 조직학적 특징을 밝힘으로 종의 식별을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기록하였다. 그리고 속, 아속 절의 설명과 속내 종 검색표(key)를 작성하여, 각 종의 분포지와 전국의 채집지를 밝혔다. 특히, 학명과 국명은 가장 정당하다고 본 것을 정명 으로 하였고, 국명의 이명도 표기하였으며 20여종의 천연색 사진도 게재하였다.
-
한국산 사초과 식물